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출산휴가 계산기 + 육아휴직 계산기 | 대기업·중소기업별 급여 차이 (2025년 최신)

by 보고남 2025. 9. 24.
반응형

 

출산휴가와 육아휴직은 근로자의 권리이자, 가족의 삶의 질을 높이는 중요한 제도입니다.
하지만 대기업과 중소기업(우선지원대상기업)에 따라 급여 지급 방식이 달라 헷갈릴 수 있습니다.
아래 계산기는 기업 유형을 선택하면 자동으로 기간과 급여 지급 주체를 알려줍니다.


출산휴가 제도 요약

  • 단일 출산: 총 90일 (출산 전 최대 45일, 출산 후 최소 45일 보장)
  • 다태아 출산: 총 120일 (출산 후 최소 60일 보장)
  • 미숙아 출산: 총 100일 (출산 후 최소 45일 보장)
  • 급여 차이:
    • 대기업: 최초 60일(다태아 75일) 사업주 지급, 이후 고용보험 지급 (상한 210만원/월)
    • 중소기업: 전 기간 고용보험 지급 (상한 동일, 총액 630/700/840만원)

💡 출산 후 최소 보장 규정: 법에 따라 출산휴가는 단순히 “휴가 시작일 + 90일”이 아닙니다.
반드시 출산일 전후로 나누어 배분되며, 출산 후 최소 45일(다태아 60일)은 보장되어야 합니다.

⚠️ **“실제 출산일·제도 변경 시 달라질 수 있음”**

출산휴가 계산기







 
반응형

육아휴직 제도 요약 

  • 기간: 기본 12개월, 조건 충족 시 18개월까지 연장
  • 연장 조건: 부모 모두 3개월 이상 사용, 한부모, 장애아동 부모
  • 급여 상한:
    • 1~3개월: 월 250만원
    • 4~6개월: 월 200만원
    • 7개월 이후: 월 160만원 (통상임금 80%)
  • 특례:
    • 6+6 부모육아휴직제: 1~6개월 [250/250/300/350/400/450만원]
    • 한부모: 첫 3개월 상한 300만원
  • 기업 차이:
    • 대기업: 고용보험에서 지급
    • 중소기업: 고용보험 지급 + 추가 지원금(대체인력, 간접노무비)

육아휴직 계산기







연장 조건 (해당 시 체크)




특례 옵션



 
 

 

 

마무리

출산휴가와 육아휴직은 출산 후 최소 보장일수기업 유형별 급여 차이를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위 계산기를 통해 정확한 일정과 급여 주체를 확인하시고, 고용보험 홈페이지에서 최신 정책도 함께 참고하세요.

👉 지금 바로 출산휴가와 육아휴직 일정을 계산해 보세요!

 

출산휴가·육아휴직·배우자 출산휴가 급여 총정리 (2025 최신)

출산을 앞둔 직장인이라면 반드시 알아야 하는 제도가 출산휴가와 육아휴직, 그리고 배우자 출산휴가입니다.2025년 기준으로 변경된 법령과 고용노동부 지침을 토대로, 대기업·중소기업 근로자

bogomaninfo.co.kr

 

반응형